이윤서 작가의 개인전 ‘To being 존재할 만한’ 전시 서문
글 : 구기정

비지시적 사물들

이윤서는 사물의 기능에 집중하기보다는 사물과 맺는 원초적 관계에 집중하여 긴밀감을 탐구하는 작업을 해왔다. 일상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물건을 소유되거나 사용되지 못하는 상태로 연출하여 작품을 제작하는데, Re-Cover 프로젝트에서는 흰색으로 사물을 덮어 형태를 제외한 물체의 질감과 색감, 나아가서는 사용감을 지우는 작업을 거쳤다. 여기서 사용감이란 사용자가 물체를 사용할 때 생기는 흔적이라는 의미와 사용할 때 느끼는 감각이라는 의미를 동시에 지칭하는데, 사물을 흰색으로 덮는 작가의 행위는 편의를 위한 분류화를 배제하고 주어진 모습 자체를 순수하게 관찰해보는 기회를 주는 것에 가깝다고 볼 수 있다.

인간은 사물의 존재를 인식하거나 관계를 인지하며 사물의 실제함을 느낀다. 이때 인식의 범위는 인지자의 감각 한계를 벗어나지 않아야 한다. 자크 모노는 1972년 발표한 책, [우연과 필연 Chance and Neccessity]에서 “인공물과 자연물의 차이는 즉각적이고 명료해서 누구나 알 수 있다고 여긴다.”라고 이야기했다. 인공물과 자연물은 명백히 구별될 만큼 다른 개념인가? 현미경을 통해 자세히 관찰한다면 인공물에서도 기하학적인 패턴을 발견할 수 있다. 카메라와 눈은 어떻게 다른가? 제작자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물건은 팔기 위한 것이다. 소비자에게는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작가에게 이 사물들은 어떤 것일까? 인간 중심적 anthropocentric관점에서 물체는 언어와 물질의 두 가지 상태로 존재하는데, 더 넓은 의미로서의 실재함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포스트 휴머니즘 post-humanism적 자세가 필요하다. 작가는 이 자세를 위해 자세하고 다양한 층위의 정보를 제공하기보다는 순백의 비非정보를 덧칠 함으로써 사물을 중립적 neutral으로 가공하고, 관람자가 직접 사물의 의미를 재고해 볼 수 있도록 한다.

작품을 감상하기 위해 전시장으로 들어서면 밝고 깨끗한 공간이 보인다. 전시장 치고는 꽤나 비어있는 공간을 볼 수 있는데, 멀리서 볼 땐 깨끗하고 공허한 공간처럼 보이지만 가까이 다가가면 기존의 색을 잃은 채 하얗게 존재하는 물건들을 관찰할 수 있다. 이것들은 기능 없이 도색이 되기 전 모습만을 지녔던 원초적인 형태 prototype로 돌아간 모습으로 보이기도 하고 현대인의 취향을 반영하듯 무색무취의 겸허한 상태로 존재하는 것처럼 보이기도 한다. 여기서 등장하는 물건은 보통 책상 위에서 쉽게 접촉할 수 있는 키보드, 프린터기, 마우스, 시계, 조명등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작가는 이 물건들을 미로처럼 바닥에 두고 통로 path를 만들어 두었다. 작가는 전시를 관람하는 관객에게 돋보기를 나누어 주고 사물에게 직접 다가가도록 유도하는데, 아이러니하게도 물체를 관찰되기 힘든 상태로 가공한 뒤 돋보기로 더 자세히 관찰하도록 유도하고 있다.

왜 우리는 분류하는가? 어떤 기준으로 나누는가? 이것들은 사용되기 위해 존재하는가? 사용되지 않는다면 아무 의미가 없어지는가? 가위는 가위질을 하고, 미싱은 미싱질을 하고, 인쇄기는 인쇄를 한다. 외형은 기능을 대변한다. 하지만 모습에 담긴 것이 기능뿐인가? 작가는 산업화된 사회에서 인간이 가질 수 있는 시각의 무자비함에 주목한다. 인간 중심적 사고와 관점이 결국 같은 인간을 이해하는 데에도 한계를 만들 것이라 생각한다. 구성원이 좀 더 나은 쓰임을 위해 사회의 기준에 맞추려는 노력이 비가시적 세계를 붕괴할 것이라 생각한다. 보이지만, 보이지 않는 것, 실제 하지만 실제 하지 않는 것을 어떻게 볼 것인가? 복합적인 개념을 이해하려다 보면 어떻게든 이해 가능한 범위 안에서 답을 찾으려 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많은 정보가 생략될 것이다. 복잡함 혹은 복합적 개념 자체는 복잡한 그 상태 그대로 의미가 있으니, 더욱 순수하게 경험되어야 할 것이다.



https://m.blog.naver.com/oksangfactory/2227755999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