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ingle-channel Video, Stainless Sculpture, Polycarbonate, Preserved Moss, Branches, Artificial Plants , 65inch TV 1150×300×2050mm, 2160×3840px, 00:02:00 (Looped Animation)
Installed at Buk-Seoul Museum of Art

Construction supervisor : Byongseon Bae
Botanical Collaborator : Sac of Biotopegallery

단채널 비디오, 스테인레스 구조물, 폴리카보네이트, 보존 이끼, 나뭇가지, 인조 식물, 65인치 TV 1150×300×2050mm, 2160×3840px, 2분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설치

구조물 설계 : 배병선
식물 설치 협업 : 삭 (비오토프 갤러리)


A deep realm where no shadows draw
〈그림자가 드리우지 않는 깊은 곳〉, (2023)

Gijeong Goo works on the various layers of nature that we encounter today, including nature informatized by image processing technology, or nature that is tamed and displayed by humans, such as bonsai and terrarium (a form of horticulture that doubles as interior decoration, where small plants are grown in an enclosed glass bowl or vase).  

The work is designed to condense nature in a dense, thin box so that nature in an artificial ecosystem and the image of nature augmented by digital technology can be captured in a single scene. The combination of these two disparate objects—nature and the image of nature augmented by digital technology—creates a sense of immersion throughout the audience’s viewing experience, while at the same time creating moments of potential rupture that allow the audience to recognize the heterogeneity. The interior of the terrarium is filled with preserved moss (moss that can be chemically treated to preserve its shape for a long time), dead tree bark, and other elements of nature to make it look lively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giving audiences a chance to experience an image loop that refers back to the real and imaginary forms respectively on the installed monitor screen.

Creating a new landscape, one in which real nature and the nature of digital images projected on a monitor screen intermingle, the work imagines a new cultural and artistic ecosystem where the interaction between the real and the virtual is further expanded in an audience’s experience with technological advances. Through this work, audiences experience the subtle balance and harmony that flows between nature and machines in mixed reality, while perceiving the work as a single image where nature and machines circulate in a connected condition. Throughout this whole viewing experience, people are presented with new definitions of nature in contemporary times. Ultimately, this is a decoration cabinet that could be placed in a living room of the near future with nature as its content. At the same time, it is a digital terrarium that shares a small ecosystem. 

Text : Kahyun Song (SeMA Curator)
구기정은 오늘날 우리가 마주하는 다양한 층위의 자연, 예컨대 이미지 처리 기술에 의해 정보화된 자연이라든가 분재(화초나 나무 등을 작은 화분에 심어 보기 좋게 가꾼 것), 테라리엄(실내장식을 겸한 원예로, 밀폐된 유리그릇이나 유리병 안에서 작은 식물을 재배하는 것)과 같이 인간에 의해 길들여지고, 전시되는 자연을 작업의 대상으로 삼는다.

이 작품은 인공 생태계의 자연과 디지털 기술에 의해 증강된 자연의 이미지가 한 장면 속에 포착될 수 있도록 고밀도의 얇은 박스 안에 응축, 설계되었다. 서로 이질적인 두 대상이 결합된 이미지는 감상하는 내내 몰입감을 제공하면서도 동시에 이질성을 인식할 수 있는 잠재적 균열의 순간들을 창출한다. 테라리엄 내부는 프리저브드 모스(화학약품 처리를 하여 오랫동안 형태를 보존할 수 있는 이끼), 죽은 나무껍질 등으로 안을 채워 오랜 기간 생기있는 상태로 관찰되며, 설치된 모니터 화면을 통해 현실과 가상의 형상을 각각 재참조하는 이미지의 순환을 경험하게 된다.

실제 자연과 모니터 스크린에 상영되는 디지털 이미지의 자연이 뒤섞여 새로운 풍경을 만들어내는 이 작품은 기술의 발전과 함께 현실과 가상의 상호작용이 관람객의 경험 속에서 더욱 확장되는 새로운 문화예술 생태계를 상상한다. 관람객은 작품을 통해 혼합 현실 속 자연과 기계 사이에 흐르는 미묘한 균형과 조화를 경험하는 한편, 자연과 기계가 연결된 채로 순환하는 단일한 이미지로서 작품을 인식함으로써 동시대 자연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참조한다. 자연을 콘텐츠로 하여 근미래의 거실에 놓일 법한 장식장이자, 작은 생태계를 공유하는 디지털 테라리엄이다.

글: 송가현 (서울시립 북서울미술관 학예연구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