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talled at National Museum of Archaeology, Malta
Multi-channel video(Looped Animation), Stainless Sculpture
몰타국립고고학박물관 설치
다중 채널 비디오, 스테인레스 구조물
Hybrid Isolated Landscape〈고립-혼종의 풍경〉, (2024)
“Hybrid Isolated Landscape“
directs attention to a novel form of isolation within the vibrantly dynamic contemporary landscape of South Korea, emanating from the intersection of its technologically advanced status and the resultant dialectic between physical reality and virtual realms. This inquiry underscores the emergence of a distinct typology wherein both non-human and human entities find themselves isolated amidst the evolving socio- technological landscape.
Malta and Korea share experiences of being dominated by neighbouring nations and are composed of several islands with unique terrains. Seoul, the capital of South Korea, is constructing an artificial urban environment, transforming islands into mainland and mainland into islands, thereby inscribing the history of artificial landscapes. This process simultaneously confronts another dimension of isolation, including digital/media isolation, amidst the prevalent physical, social and cultural disconnections commonly experienced in island environments.
The artwork Hybrid Isolated Landscape (2024) posits South Korea as
a de facto island nation or maritime state surrounded by the sea or waterways, due to its physical, social and cultural disconnect from the northern continent, effectively serving as
a ceasefire line. In the island nation, the rapid onset of Digital Transformation heralds the era of ‘Digital Isolation’ where individuals confront a phenomenon leading them to perceive the world through images constructed by fantasy(reverie) and imagination. Consequently, nature is artificially produced and consumed, evolving in a manner accessible to individual ownership. In particular, landscapes unseen in reality are interpreted through cropped datasets encountered on screens. This not only physically isolates the body further but also leads to encounters with the opaque unknown. In the 6-channel display, scenes from Malta beyond the screen and landscapes of Jeju captured by the artist animate and intertwine, forming a hybrid landscape against the backdrop of a nonexistent ironic ecology. This setting constructs a mixed landscape alongside artificial life (Artificial Living).
Text : Jieon Lee
〈고립-혼종의 풍경〉은 진동하며 역동하는 현대 한국의 풍경에서 시작되었으며, 기술적으로 진보한 국가의 물리적 현실과 가상세계에서 비인간/인간을 고립시키는 새로운 유형에 주목한다. 몰타와 한국은 근처 국가들에 의해 지배된 경험 있으며, 독특한 지형의 여러 섬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주도는 초화산의 분출로 형성된 고유한 경관과 몰타와 같이 휘어진 역사를 공유한다. 제주도는 주로 현무암과 같은 화산암들로 구성되어 있고, 서울과 같은 대도시에서 찾기 힘든 야생종들이 즐비한다. 서울은 섬을 육지로, 육지를 섬으로 인공적인 도시환경을 구축하며 새로운 풍경의 역사를 쓰고 있다. 이는 섬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물리적, 사회적, 문화적 단절과 이에 따른 고립을 겪는 동시에, 기술 진보 사회는 또 다른 고립 (미디어·디지털 고립 등)의 측면을 맞이한다.
구기정의 동명의 작업은 한국을 휴전선으로 북부 대륙과의 물리적, 사회적, 문화적 단절로 사실상 사면이 바다 또는 해역이나 수역으로 둘러싸인 일종의 섬나라 또는 해양 국가라고 상정한다. 섬나라에서 급속도로 맞이한 디지털 전환기(DX)는 ‘디지털 고립 Digital Isolation’을 맞이하며, 개인이 판타지와 상상으로 구축한 이미지로 세계를 인식하기에 이르는 현상을 마주한다. 이에 따라 자연은 인공적으로 생산 및 소비되고 개인이 소유할 수 있는 방식으로 발전한다. 특히, 실제로 보지 않은 ‘풍경’은 스크린으로 조우한 크롭된 데이터 셋으로 세상을 해석한다. 이는 신체를 물리적으로 더욱 고립되게 만들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존재가 불투명한 미지와의 조우를 이끌어낸다. 작품의 6채널 디스플레이에서는 스크린 너머의 몰타, 작가가 촬영한 제주의 풍경이 애니메이팅 되어 뒤섞이며 존재하지 않는 아이러니한 생태를 배경으로 인공생명(Artificial Living)과 함께 혼종적인 풍경을 구축한다.
글 : 이지언
“Hybrid Isolated Landscape“
directs attention to a novel form of isolation within the vibrantly dynamic contemporary landscape of South Korea, emanating from the intersection of its technologically advanced status and the resultant dialectic between physical reality and virtual realms. This inquiry underscores the emergence of a distinct typology wherein both non-human and human entities find themselves isolated amidst the evolving socio- technological landscape.
Malta and Korea share experiences of being dominated by neighbouring nations and are composed of several islands with unique terrains. Seoul, the capital of South Korea, is constructing an artificial urban environment, transforming islands into mainland and mainland into islands, thereby inscribing the history of artificial landscapes. This process simultaneously confronts another dimension of isolation, including digital/media isolation, amidst the prevalent physical, social and cultural disconnections commonly experienced in island environments.
The artwork Hybrid Isolated Landscape (2024) posits South Korea as
a de facto island nation or maritime state surrounded by the sea or waterways, due to its physical, social and cultural disconnect from the northern continent, effectively serving as
a ceasefire line. In the island nation, the rapid onset of Digital Transformation heralds the era of ‘Digital Isolation’ where individuals confront a phenomenon leading them to perceive the world through images constructed by fantasy(reverie) and imagination. Consequently, nature is artificially produced and consumed, evolving in a manner accessible to individual ownership. In particular, landscapes unseen in reality are interpreted through cropped datasets encountered on screens. This not only physically isolates the body further but also leads to encounters with the opaque unknown. In the 6-channel display, scenes from Malta beyond the screen and landscapes of Jeju captured by the artist animate and intertwine, forming a hybrid landscape against the backdrop of a nonexistent ironic ecology. This setting constructs a mixed landscape alongside artificial life (Artificial Living).
Text : Jieon Lee
〈고립-혼종의 풍경〉은 진동하며 역동하는 현대 한국의 풍경에서 시작되었으며, 기술적으로 진보한 국가의 물리적 현실과 가상세계에서 비인간/인간을 고립시키는 새로운 유형에 주목한다. 몰타와 한국은 근처 국가들에 의해 지배된 경험 있으며, 독특한 지형의 여러 섬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주도는 초화산의 분출로 형성된 고유한 경관과 몰타와 같이 휘어진 역사를 공유한다. 제주도는 주로 현무암과 같은 화산암들로 구성되어 있고, 서울과 같은 대도시에서 찾기 힘든 야생종들이 즐비한다. 서울은 섬을 육지로, 육지를 섬으로 인공적인 도시환경을 구축하며 새로운 풍경의 역사를 쓰고 있다. 이는 섬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물리적, 사회적, 문화적 단절과 이에 따른 고립을 겪는 동시에, 기술 진보 사회는 또 다른 고립 (미디어·디지털 고립 등)의 측면을 맞이한다.
구기정의 동명의 작업은 한국을 휴전선으로 북부 대륙과의 물리적, 사회적, 문화적 단절로 사실상 사면이 바다 또는 해역이나 수역으로 둘러싸인 일종의 섬나라 또는 해양 국가라고 상정한다. 섬나라에서 급속도로 맞이한 디지털 전환기(DX)는 ‘디지털 고립 Digital Isolation’을 맞이하며, 개인이 판타지와 상상으로 구축한 이미지로 세계를 인식하기에 이르는 현상을 마주한다. 이에 따라 자연은 인공적으로 생산 및 소비되고 개인이 소유할 수 있는 방식으로 발전한다. 특히, 실제로 보지 않은 ‘풍경’은 스크린으로 조우한 크롭된 데이터 셋으로 세상을 해석한다. 이는 신체를 물리적으로 더욱 고립되게 만들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존재가 불투명한 미지와의 조우를 이끌어낸다. 작품의 6채널 디스플레이에서는 스크린 너머의 몰타, 작가가 촬영한 제주의 풍경이 애니메이팅 되어 뒤섞이며 존재하지 않는 아이러니한 생태를 배경으로 인공생명(Artificial Living)과 함께 혼종적인 풍경을 구축한다.
글 : 이지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