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In collaboration with Seongil Choi
Interactive Design Support by Sumin Kim
Stainless Steel, Synthetic Leather, Cushion Pad, Curved Monitor
스테인레스 스틸, 인조가죽, 쿠션 패드, 커브드 모니터
Relax+Motion+Effect 〈휴식+움직임+효과〉, (2025)
Since industrialization, the human body has been bound to efficiency and discipline. Today, autonomous driving and AI technologies design not only how we work, but also how we rest. Within such a technological environment, this project approaches ‘rest’ not as mere recovery, but as a turning point of perception—an opening to a different way of sensing the world. The landscape emerges only through rest, not as a reward for productivity, but as an experience in which body and mind awaken anew.Relax + Motion + Effect is an interactive installation that invites audiences to inhabit a modular space modeled after an autonomous vehicle interior. In comfortable postures—reclining, lying down—they encounter shifting sensory states. Landscapes evoking forms of nature unfold across the space, while visuals respond organically to the body’s movement and stillness. Here, the screen is not something to be watched, but a medium through which the body itself experiences the sensation of rest. In this blurred threshold between working and resting, our senses are cordially reactivated and reassembled.The project experiments with how our bodies and perceptions are reshaped under technological conditions. Senses are not fixed within the individual, but organized through external systems—of which rest, too, becomes a part. Amid landscapes where the boundary between real and virtual dissolves, audiences become aware of how deeply technology has defined their bodies and learn anew “how to feel.” Rest here is not simply stopping, but a chance to recover overlooked senses and rediscover oneself.About the CreatorGijeong Goo + Seongil Choi work collaboratively across design, performance, and human–machine interfaces, interpre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odily perception and technological environments from multiple perspectives. Their practice focuses on how the interactions of senses, movement, and technology can recalibrate perception—going beyond the simple act of operating or controlling machines to realize the experiential dimensions that technology can open up. Relax + Motion + Effect, their first project with ZER01NE, posits itself as an experiment in rethinking both the philosophy of embodied perception and the narrative potential embedded in technological environments.
산업화 이후 인간의 신체는 항상 효율과 규율 속에 놓여 있었습니다. 자율주행과 인공지능 기술은 이제 노동 뿐 아니라 쉼의 방식까지 설계합니다. 이 프로젝트는 그런 기술 환경 속에서 ‘쉼’을 단순한 회복의 시간이 아니라, 새로운 세계를 인식하는 감각의 전환점으로 다룹니다. 풍경은 그 쉼을 통해서만 드러나며, 이는 생산을 위한 보상이 아니라 몸과 마음이 새롭게 깨어나는 경험으로 다가옵니다.<Relax + Motion + Effect>는 자율주행차 내부를 모티브로 한 모듈형 공간에서 관객이 편안한 자세로 머물며 감각의 변화를 체험하는 참여형 설치 작업입니다. 공간은 자연물을 연상시키는 풍경으로 구성되며, 관객의 움직임과 머무름에 따라 영상이 유기적으로 반응합니다. 관객은 스크린을 ‘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몸을 통해 ‘쉼의 감각’을 직접 경험하게 됩니다. 쉬는 것인지 일하는 것인지 경계가 흐려진 상태에서, 감각은 다시 활성화되고 구성됩니다.본 프로젝트는 우리의 몸과 감각이 기술 환경에 따라 어떻게 달라질 수 있을지를 실험합니다. 감각은 개인 안에 고정된 것이 아니라 기술과 함께 만들어지는 외부적 조건이며, 쉼 또한 그 일부로 조직됩니다. 실제와 가상을 구별하기 어려운 자연물의 형상 속에서 관객은 자신의 몸이 기술에 의해 얼마나 규정되어 있었는지를 자각하게 되고, 그 자리에서 ‘다시 느끼는 법’을 배워 나갑니다. 쉼은 이 과정에서 단순한 멈춤이 아니라, 우리가 놓쳤던 감각을 되찾고 새로운 나 자신을 회복하는 계기가 됩니다.
Since industrialization, the human body has been bound to efficiency and discipline. Today, autonomous driving and AI technologies design not only how we work, but also how we rest. Within such a technological environment, this project approaches ‘rest’ not as mere recovery, but as a turning point of perception—an opening to a different way of sensing the world. The landscape emerges only through rest, not as a reward for productivity, but as an experience in which body and mind awaken anew.Relax + Motion + Effect is an interactive installation that invites audiences to inhabit a modular space modeled after an autonomous vehicle interior. In comfortable postures—reclining, lying down—they encounter shifting sensory states. Landscapes evoking forms of nature unfold across the space, while visuals respond organically to the body’s movement and stillness. Here, the screen is not something to be watched, but a medium through which the body itself experiences the sensation of rest. In this blurred threshold between working and resting, our senses are cordially reactivated and reassembled.The project experiments with how our bodies and perceptions are reshaped under technological conditions. Senses are not fixed within the individual, but organized through external systems—of which rest, too, becomes a part. Amid landscapes where the boundary between real and virtual dissolves, audiences become aware of how deeply technology has defined their bodies and learn anew “how to feel.” Rest here is not simply stopping, but a chance to recover overlooked senses and rediscover oneself.About the CreatorGijeong Goo + Seongil Choi work collaboratively across design, performance, and human–machine interfaces, interpre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odily perception and technological environments from multiple perspectives. Their practice focuses on how the interactions of senses, movement, and technology can recalibrate perception—going beyond the simple act of operating or controlling machines to realize the experiential dimensions that technology can open up. Relax + Motion + Effect, their first project with ZER01NE, posits itself as an experiment in rethinking both the philosophy of embodied perception and the narrative potential embedded in technological environments.
산업화 이후 인간의 신체는 항상 효율과 규율 속에 놓여 있었습니다. 자율주행과 인공지능 기술은 이제 노동 뿐 아니라 쉼의 방식까지 설계합니다. 이 프로젝트는 그런 기술 환경 속에서 ‘쉼’을 단순한 회복의 시간이 아니라, 새로운 세계를 인식하는 감각의 전환점으로 다룹니다. 풍경은 그 쉼을 통해서만 드러나며, 이는 생산을 위한 보상이 아니라 몸과 마음이 새롭게 깨어나는 경험으로 다가옵니다.<Relax + Motion + Effect>는 자율주행차 내부를 모티브로 한 모듈형 공간에서 관객이 편안한 자세로 머물며 감각의 변화를 체험하는 참여형 설치 작업입니다. 공간은 자연물을 연상시키는 풍경으로 구성되며, 관객의 움직임과 머무름에 따라 영상이 유기적으로 반응합니다. 관객은 스크린을 ‘보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몸을 통해 ‘쉼의 감각’을 직접 경험하게 됩니다. 쉬는 것인지 일하는 것인지 경계가 흐려진 상태에서, 감각은 다시 활성화되고 구성됩니다.본 프로젝트는 우리의 몸과 감각이 기술 환경에 따라 어떻게 달라질 수 있을지를 실험합니다. 감각은 개인 안에 고정된 것이 아니라 기술과 함께 만들어지는 외부적 조건이며, 쉼 또한 그 일부로 조직됩니다. 실제와 가상을 구별하기 어려운 자연물의 형상 속에서 관객은 자신의 몸이 기술에 의해 얼마나 규정되어 있었는지를 자각하게 되고, 그 자리에서 ‘다시 느끼는 법’을 배워 나갑니다. 쉼은 이 과정에서 단순한 멈춤이 아니라, 우리가 놓쳤던 감각을 되찾고 새로운 나 자신을 회복하는 계기가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