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V print on acrylic, monitors, LED, stainless steel frame, soils, living plants
아크릴에 UV 프린트, 모니터, LED, 스테인리스 스틸 프레임, 흙, 살아있는 식물


Sound by Sunwoo Shawn Kim
사운드 : 선우숀킴
The Transparent Rendering Apparatus 
<투명성 렌더링 장치>, 2025


구기정은 실재하는 자연 풍경을 3D 렌더링 기반의 디지털 이미지로 재현하고, 이를 영상과 다양한 설치 형태로 구현하는 작업을 통해 인간, 기계, 자연 간의 경계를 실험하고 이들 간의 상호관계를 탐구한다. 그의 작품 〈투명성 렌더링 장치〉는 여러 대의 커스텀 모니터가 설치된 대형 스테인리스 구조물로, 내외부가 토양과 살아 있는 식물로 둘러싸여 있다. 작가는 매크로 렌즈로 자연 풍경을 근접 촬영한 뒤, 그 이미지를 질감이 살아 있는 유기적 형태로 디지털 가공해 출력하고, 이를 LED 기판 위에 층층이 병치하여 하나의 입체적인 시각 장면을 구성한다. 이 작품은 내부구조를 외부에 투명하게 드러내어 이미지가 형성되는 과정을 비롯해, 물리적 장치와 기술적 매커니즘까지 관객에게 직접 보여준다. 작가는 자연의 이미지를 추출하여 디지털이라는 인공적인 매체로 전환하고, 다시 실제 식물과 토양을 덧붙여 자연과 기술이 교차하는 복합적인 상태를 만들어낸다. 이처럼 그의 작품은 디지털과 (아날로그인)자연의 혼합된 상태를 오가며 여러 단계의 과정을 거쳐 완성된다.

관람객은 단순히 매끈하게 정돈된 시각 이미지를 감상하는 것이 아니라, 투명하게 드러난 화면을 통해서 복잡한 기술적 구성과 제작 과정을 인식하도록 유도된다. 강한 LED 조명은 편안한 이미지 감상을 방해하면서도, 노출된 기술 구조는 호기심을 자극하며, 우리가 화면을 통해 접하는 수 많은 인공적 이미지들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되묻게 한다. 궁극적으로 작가는 ‘보는 행위’를 넘어, 이미지에 내재된 기술적·물질적 구조에 대한 감각을 일깨우고, 우리가 경험하는 현실의 층위와 그 인식 방식을 재고하게 만든다.

Gijeong Goo recreates actual natural landscapes through three-dimensional rendering-based digital images. Presenting work that realizes these landscapes in videos and various installation forms, he experiments with the boundaries separating human beings, machinery, and nature and explores the interrelationships among them. Goo’s work The Transparent Rendering Apparatus is a large stainless-steel structure with several custom-built monitors. Its inner and outer portions are surrounded by soil and living plants. After taking photographs of natural landscapes from up close with a macro lens, the artist digitally processes the images into organic forms with vivid textures. He then layers them over an LED substrate to form a three-dimensional visual scene. By transparently revealing the internal structure, the work shows the viewer the process behind the image’s formation, along with the physical and technological mechanisms at work. Extracting images of nature and transforming them into artificial digital media, the artist then adds actual plants and soil to create a complex state where nature and technology intersect. In this way, his work is completed through a multi-stage process that alternates within a hybrid state of the digital and (analog) natural.

Rather than simply enjoying the sleekly presented visual images, viewers are encouraged to perceive the complexities of the technological structure and production process through a transparently revealed screen. The powerful LED lighting disrupts the comfort of the image viewing experience, while the exposed technical structure piques curiosity and makes us question how we perceive the many artificial images we encounter through screens. Ultimately, the artist goes beyond the mere act of “seeing” to awaken our perception of the inherent technical and physical structures behind the image, causing us to reconsider the layers of reality that we encounter and the ways in which we perceive them.



Gijeong Goo기정

작업Works
2025 The Transparent Visual Appartus 7-8 / The Transparent Rendering ApparatusThe Transparent Visual Apparatus 3-6 / The Transparent Visual Apparatus 1-2 / Exceeded Scenes 4
2024 Macromachineplantincubator /Macro Hybrid Scenes / Hybrid Isolated Landscape / Spectral field
2023 A deep realm where no shadows drawExceeded Scenes 1-4 / Exceeded Scenes 1-3 / Facing and StrollingCrossing Bodies / Macro Scenes
2022 ContrologyContrology (performance) / Whose order do your fingers follow? / Coagulation 3 / Exceeded Scenes 3 / Exceeded Scenes 1-2 / Exceeded Scenes
2021 Famous ScenesExceeded Scenes 1 / Water is Transparent 2 / Rendered PoolSynthetic Nature
2020 Tangible MomentThe WallWater is TransperentUnknown
2019 Coagulation 2 / CoagulationRendered NatureBodi StimuliDouleur 3 / Douleur 2
2018 Nature is BlueDouleurThe Excavation of DreamNew Machine
2015 Real-Google-Earth

기획Curations들 
Trans-비전ヴィジョンContrology

비평Critiques&외Other Materials
2025 Symbiocene
2024 Gijeong Goo’s Rendering ≥ World
=%세GyeSe계세계Saegye
구기정의 렌더링 ≥ 월드 =%세GyeSe계세계Saegye / 인공적인 풍경-자연스런 알아차림 / 더 자세한 소개
2023 I am listening in the roomEmbracing: In and Out of the Body 
2022 아주 미세한 이질감의 배치 / 미디어 문법, 응고된 신체를 자각하기 위한 장으로서의 Contrology / Access-Control-Allow-Origin비지시적 사물들Ambiguous 3D World
2021 Super fine: 가벼운 사진술
2019 Exposing Humanity in the Machine
2014 100-0%

CV / Contact

Mark